본문 바로가기

건강지식

비만의 위험·단점 살찌는 원인과 관련된 질병(당뇨병·암 등)

비만의 원인이나 비만이 요인이 되는 병을 다뤄보겠습니다. 비만의 원인에는 과식 이외에도 기초 대사 저하와 스트레스, 불규칙한 생활, 수면 부족 등도 관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비만으로 인해 고혈압이나 당뇨병, 암 등의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비만-위험성

 

비만의 원인과 위험에 대하여

비만이란

비만의 지표가 되는 BMI(체격지수)는, [BMI=체중(kg)÷신장(m)÷신장(m)]으로 계산합니다. 세계적으로는 30 이상의 경우를 비만이라고 하고 있습니다만, 한국의 경우 BMI가 25 이상을 비만으로 판정합니다.

이는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인은 음식에서 섭취한 에너지를 피하지방보다 내장지방으로 쓰기 쉽고 가벼운 비만이라도 내장지방이 너무 쌓여서 생기는 질병의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비만의 기준이 엄격해지고 있습니다.

비만의 원인

과식이나 운동 부족 등의 생활습관이 비만의 원인으로 일반적이지만 과식한다는 의식이 없어도 살이 찌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사실 중년기 이후로 운동하는 습관이 특별히 없는 사람에서는 젊었을 때와 같은 양의 식사를 하고 있으면 아무래도 살이 찌기 쉬워집니다. 그 이유는 기초대사량의 저하입니다.

기초대사량이란 호흡이나 소화 등 생명 유지를 위해 소비되는 에너지 양을 말하며, 아무것도 하지 않고 가만히 있어도 소비되고 있습니다.

젊었을 때는 기초대사량이 높고 식사로 취한 에너지가 소비되기 쉽기 때문에 적정한 에너지량의 식사라면 보통 살이 찌지 않습니다.

그런데 기초대사량은 나이가 들면서 서서히 저하되기 때문에 젊었을 때와 비슷한 에너지량의 식사 그대로는 '과식'이 됩니다.

그 밖에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나 걱정거리가 많거나, 불규칙한 생활을 계속하고 있거나, 수면 부족 혹은 너무 많이 자는 등의 생활습관도 비만의 한 원인이 됩니다.

비만을 방치하면 살이 더 빠지기 힘들다?

'살이 좀 찌기 시작했나' 하는 상태를 그대로 두면 더욱 살이 쪄서 좀처럼 살이 빠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식사에서 섭취한 에너지의 일부는 지방으로 형태를 바꾸어 저장용 에너지로 지방세포 안에 저장됩니다.

지방세포는 몸의 기능을 정돈하는 다양한 호르몬 등을 방출하고 있는데, 그 중 하나인 렙틴은 체내 지방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작용을 하고 있습니다.

렙틴이 뇌에 작용하여 식욕을 억제하고 체내 지방을 에너지로 소비하기 쉽게 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지방 세포 안에 지방이 너무 쌓이면 렙틴이 잘 듣지 않게 되어 버릴 수 있습니다.

그러면 식욕을 억제하지 못하고 과식을 하게 되고 지방 소비도 밀리기 때문에 점점 살이 찌게 되는 거죠. 또한 원래 렙틴이 잘 듣지 않는 체질의 사람도 있습니다.

또 비만인 사람은 마른 사람에 비해서 단쇄지방산을 만드는 장내 세균의 비율이 적다는 결과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병을 일으키는 3가지 지방

비만에는 주로 피하지방형 비만과 내장지방형 비만의 두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피부 바로 아래, 복근 바깥쪽에 붙는 '피하지방'이 많이 쌓여 있는 게 피하지방형 비만입니다. 피하지방형 비만의 경우 하복부나 엉덩이, 허벅지에 잘 붙기 때문에 하체가 뚱뚱한 체형이 됩니다.

한편 복부 안쪽, 장 등 주변에 붙는 '내장지방'이 많이 쌓여 있는 것이 내장지방형 비만입니다. 내장지방형 비만의 경우 배꼽 주위가 툭 튀어나온 체형이 됩니다.

일반적으로는 여성이 피하지방이 붙기 쉽고 남성은 내장지방이 붙기 쉽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러나 폐경 후 여성은 점차 내장 지방이 쌓이기 쉬워집니다.

또 극단적인 비만인 사람의 경우 피하지방형과 내장지방형 모두 해당될 수 있습니다.

또 체내 지방이 너무 많이 늘어나면 원래 지방이 쌓이지 않는 곳에 쌓이게 됩니다.이것을 '이소성 지방'이라고 하며 간이나 근육, 췌장 등에 쌓일 수 있습니다.

「피하지방」 「내장지방」 「이소성 지방」의 3가지는, 쌓이게 되면 다양한 병을 일으킵니다.

비만으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질병

대사증후군은 배꼽 주위가 두꺼워지는 내장지방형 비만인 데다 당뇨병,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중 2가지 이상에 해당하면 대사증후군으로 진단이 됩니다. 하지만 비만이 일으키는 질병은 이것뿐만이 아닙니다.

고요산혈증과 그것이 진행되면서 생기는 통풍, 협심증·심근경색, 비알코올성 지방성 간질환(NAFLD), 뇌경색, 월경이상·불임, 신장병, 수면무호흡증, 무릎·고관절·등뼈·손가락 등 관절 장애도 비만과 관련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비만의 지표가 되는 BMI(체격지수)가 25 이상인 것에 더해, 이러한 질병이 하나라도 있는 경우, 비만증으로서 치료의 대상이 됩니다.

비만이 원인? 당뇨병과 그 합병증에 대하여

비만 중에서도 피하지방이 아닌 내장 주위에 지방이 축적되는 내장지방형 비만은 특히 당뇨병을 쉽게 발병시킬 수 있습니다.

당뇨병은 혈당이 높아지는 병인데, 그 혈당을 낮춰서 정상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입니다. 비만이 있으면 인슐린이 잘 듣지 않게 되어 혈당치가 올라가 버리는 것입니다.

또한 당뇨병은 다양한 합병증이 일어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당뇨병 진단을 받아도 대부분의 경우 자각 증상이 없습니다.

그런데 혈당이 높은 상태를 오래 방치하다 보면 눈이나 신장의 가는 혈관 등 전신 곳곳의 혈관이 손상되고 각종 질병을 초래하게 됩니다.

눈이 나빠지는 당뇨병 망막증, 신장이 나빠지는 당뇨병 신증, 신경이 나빠지는 당뇨병 신경장애 이렇게 세 가지가 대표적으로 '3대 합병증'이라고 불립니다. 최악의 경우 각각 실명, 혈액 투석, 발가락 등의 절단에까지 이릅니다.

그리고 최근에는 암과 치매도 당뇨병의 합병증으로 생각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비만으로 혈압도 올라갈까?

혈압은 자율신경이나 호르몬에 의해 적절히 조절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비만이 있게 되면 배에 쌓인 지방세포에서 다양한 물질이 분비가 되고 그게 자율신경이나 호르몬의 기능을 흐트러뜨리게 됩니다.

그 결과 혈관이 필요 이상으로 수축하거나 염분이 필요 이상으로 체내에 쌓이거나 해서 혈압이 올라가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비만인 사람은 과식하는 경우가 많고, 그것이 식염 섭취로 이어져 한층 혈압이 오르기 쉽다고 생각됩니다.

혈압이 높아도 자각 증상은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느 날 갑자기 뇌졸중 같은 생명과 관련된 중대한 질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비만과 암의 관계에 대해서

비만은 당뇨병이나 고혈압 등 생활습관병의 큰 요인일 뿐만 아니라 암의 위험을 높이는 것도 알려져 있습니다. 과식이나 운동 부족으로 인해 체내에 남은 당을 처리하기 위해 대량의 인슐린이 분비됩니다.

이 인슐린의 과잉 분비가 암세포를 증식하기 쉽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많은 연구결과, 폐경 후 일어나는 유방암은 비만과의 관련이 '확실하다'고 밝혔습니다. 대장암과 간암에서는 비만과의 관련이 '거의 확실하다'고 합니다.

또한 자궁내막암과 폐경 전 유방암에서는 '비만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이소성 지방'으로 생기는 병

체내 지방이 너무 많이 증가하면 원래는 지방이 쌓이지 않는 곳에 축적됩니다. 이것을 이소성 지방이라고 하며 간이나 근육, 췌장 등에 쌓일 수 있습니다.

쌓인 장소에 따라 다양한 질병을 일으킵니다.간 에 지방이 쌓여 진행이 되면 간경변이나 간암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근육과 췌장에 지방이 쌓인 결과 당뇨병에 걸리기 쉬워집니다.

술 안 먹어도 위험? 지방간에 요주의

지방간이란 간에 지방이 쌓인 상태를 말합니다. 간 세포의 약 30% 이상에 지방이 쌓이면 지방간으로 진단됩니다.
지방간이 되는 원인은 급격한 다이어트와 알코올 과다 섭취가 있지만, 가장 큰 원인은 비만입니다.

과식 등으로 인해 섭취한 에너지가 소비하는 에너지를 초과하면 남은 에너지는 간으로 옮겨져 중성지방이 됩니다. 그 일부는 간으로 옮겨져 처리되지만 처리되지 않은 중성지방은 점점 간에 쌓여갑니다.

 

'피하지방'이 너무 많이 쌓여서 생기는 병

피하지방이 너무 쌓이는 것은 방치하고 있으면 체중에 의한 부담이 원인으로 무릎이나 고관절, 척추 등에 장애를 일으키기 쉽습니다.

또 목 주위에 피하지방이 너무 많이 붙으면 기도가 좁아져 잠든 사이 일시적으로 호흡이 멈추는 수면무호흡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수면 부족이 비만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정보는 여기서

 

수면 부족과 비만의 관계

수면 부족과 비만은 어떠한 관계가 있을까요? 이와 관련해서 살펴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수면 부족이 비만의 원인!? 수면 부족에는 세 가지 주요 원인이 있습니다. (1) 신체적 요인 : 고혈압 및

arichbin.com

 

그 밖에 비만이 요인이 되는 질병에 대해서

비만은 당뇨병이나 고혈압 등의 질병 외에 다양한 질병의 요인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