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지식

소변 이상을 초래하는 병 정리. 방광염·신장병·암 등

소변 냄새가 나고 소변 색깔이 신경 쓰이는 등 평소와 다른 소변이 나오는 것으로 불안해지는 일은 없습니까?

소변이 새거나 빈뇨, 배뇨 시에 통증이 있거나 하는 등의 증상은 방광염이나 만성 신장병, 암 등의 질병과 관련이 있을지도 모릅니다. 각각의 질병의 증상과 치료법에 대해 해설합니다.

방광염-증상

방광염

방광염은 소변을 모아 배출하는 방광에 염증이 생기는 병입니다.

급성 방광염, 만성 방광염, 간질성 방광염의 세 가지 유형이 있으며 방광염의 발병 사례 중 약 90%는 급성 방광염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급성 방광염

급성 방광염은 여성에게 흔하며 방광에 세균이 침입하는 것이 원인으로 빈뇨, 잔뇨감, 방광통증, 소변이 하얗게 탁해지는 등의 증상이 일어납니다.

원인이 되는 세균의 약 80%가 대장균입니다. 대장균은 대장에 살고 있는 상재균으로 대변에 포함되는 것 외에도 항문 주위에도 있습니다. 여성은 항문에서 요도까지의 거리가 짧고 요도의 길이도 짧기 때문에 대장균이 방광에 침입하기 쉽습니다.

또한 급성 방광염의 대표적인 합병증인 '신우신염'은 중증화 시 생명의 위험도 있는 무서운 질병입니다. 방광염 증상과 더불어 38도 이상의 발열이나 등·허리 통증, 메스꺼움·한기·전신권태감 등이 있을 때에는 '신우신염'일 수 있습니다.

만성 방광염

만성 방광염은 남성에게서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이물질로 인해 생기는 만성방광염은 방광결석이나 요도에 장기간 놓인 카테터 등의 '이물질'이 세균이 살다가 염증이 만성화되는 경우가 많으며 증상은 급성방광염과 비슷합니다.

이외에 일부 약에 의해 일어나는 약제성 만성 방광염이나 다른 부위의 방사선 치료 시 부작용으로 일어나는 방사선성 만성 방광염이 있습니다. 약제성 방광염과 방사성 방광염의 경우 주요 증상으로 혈뇨가 보입니다.

간질성 방광염

간질성 방광염이란 방광 점막 장벽이 약해져 소변이 점막 안쪽의 '간질'이라는 층까지 스며들어 심한 염증이 생기는 병입니다.

증상은 급성 방광염과 비슷하지만 '빈뇨의 정도가 심하다', '방광은 소변이 쌓이면서 심하게 아프다', '뇨가 쌓이면 방광에 압박감을 느낀다',  '배뇨 후에는 편안해진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만성 신장병

만성콩팥병은 신장의 기능이 저하된 상태나 소변 속으로 단백질이 누출되는 상태(단백뇨)의 총칭입니다.

만성 콩팥병의 기전

콩팥은 소변을 만드는 장기로 콩팥으로 흘러드는 전신의 혈액에서 노폐물을 제거하고 여분의 염분·수분과 함께 소변으로 몸 밖으로 배출합니다.

노폐물을 제거하는 것은 신장 속에 있는 '사구체'라는 작은 무수한 조직입니다.깨끗해진 혈액은 신장에서 전신으로 흘러갑니다.

만성 콩팥병에서는 사구체가 조금씩 망가져 갑니다. 그 결과 혈액 속 노폐물을 충분히 제거할 수 없게 되거나 소변에 빠지지 않아야 하는 단백질이 소변에 섞이기도 합니다.

만성 콩팥병의 대부분은 '뇨검사'나 '혈액검사'로 조기 발견할 수 있습니다.

 

소변의 이상이 사인이 되는 암

신장암

소변을 만드는 기능을 가진 신장에 발생하는 암은 신피질로 생기는 '신암'과 신암이 생기는 '신암'으로 크게 나뉘며 성질이나 치료법이 다릅니다. 신장에 생기는 암의 약 90%가 신장암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신장암은 조기에는 자각증상이 거의 없지만 진행되면 혈뇨, 측복부통(옆구리 통증), 옆구리 응어리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방광암

방광은 신장에서 만들어진 소변을 일시적으로 모아 두는 주머니 모양의 기관입니다.방 광암의 90% 이상은 요로 안쪽에 있는 요로 상피라는 점막에서 발생하는 '요로 상피암'이라는 유형입니다.

방광암이 발병하는 사람은 일본에서는 연간 2만 명 이상. 남성에게 많고 흡연과 노화가 방광암 발병의 요인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방광암을 조기 발견하는 중요한 사인이 되는 것이 눈으로 보이는 혈뇨입니다.
즉시 진찰을 받으면 대부분 조기 암 단계에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혈뇨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으므로 특히 50세 이상에서 흡연 이력이 있는 사람은 1년에 1회 소변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전립선암

전립선은 남성 특유의 생식 기관으로 정액 성분을 만드는 등의 기능을 하고 있습니다.

전립선암은 진행이 비교적 느리기 때문에 초기에는 자각증상이 나타나지 않지만 진행되어 국소진행암에 걸리면 빈뇨나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다, 혈뇨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난소암

난소는 자궁 좌우에 하나씩 있는 장기입니다. 여성호르몬을 분비하는 것 외에 폐경까지 난자를 주기적으로 방출하는 배란의 작용도 있습니다. 난소암은 40대부터 급격히 늘어나 조기 발견이 어려운 암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초기 증상은 거의 없으며 진행된 경우 하복부의 당김, 압박감, 통증, 응어리 등이 나타납니다. 「식후가 아니라도, 배가 나오고 있다」 「압박감이 있어 화장실에 가고 싶어지지만, 소변은 나오지 않는다」풍선처럼 배가 부풀어 올랐다'는 등의 경우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오줌 누기

남성 요실금

남성 소변이 새는 큰 원인이 되는 것은 '과활동 방광'과 '전립선 비대증'입니다. 특히 '전립선 비대증'이 원인으로 '과활동 방광'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은 것이 남성의 소변이 새는 특징입니다.

대부분 양성 질환으로 생활에 지장이 없으면 치료할 필요가 없지만 드물게 뇌혈관 장애 등이 원인인 소변이 새기도 해 주의가 필요합니다.

여성 요실금

소변 누출로 고민하는 여성의 약 80%가 '복압성 요실금' 약 50%가 '긴박성 요실금'으로 여겨지며, 이를 병발하는 '혼합성 요실금'도 30% 정도 볼 수 있습니다.

원인도 다르고 복압성 요실금에서는 골반저근이라는 근육 이완이, 절박성 요실금에서는 '뇌와 방광'의 연계가 잘 되지 않는 것이 원인으로 발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