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지외반증의 원인
구두 착용으로 인한 원인
무지외반증은 엄지발가락이 옆으로 20도 이상 휘어지는 병입니다. 엄지 발가락 관절이 튀어나와 신발에 부딪혀 통증이나 염증을 일으킵니다.
X선 사진을 보면 엄지발가락 관절이 튀어나온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의 조사에 따르면 무지외반증은 여성에게 많은 질병으로 나타났습니다.
무지외반증에 걸리기 쉬운 사람
인간의 발가락 모양에는 3종류가 있는데, 그 중 엄지발가락이 가장 긴 모양인 사람은 무지외반증에 걸리기 쉬운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엄지발가락이 신발 끝에 닿아 압박을 받기 쉽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엄지발가락이 가장 길지 않은 사람이라도 압박을 받을 만한 신발을 신으면 무지외반증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어떤 신발이 무지외반증에 걸리기 쉬울까?
그럼 어떤 신발이 엄지손가락을 압박하여 무지외반증을 일으키는 것일까요. 답은 끝이 가는 신발과 뒤꿈치가 높은 신발입니다.
끝이 가는 신발은 엄지발가락을 옆 손가락 쪽으로 압박해 버립니다. 반면 굽이 높은 신발은 발이 신발 끝을 향해 미끄러지기 때문에 손가락 전체가 신발 끝에 눌려 버립니다.
엄지발가락 관절에는 많은 인대가 있습니다. 그 안쪽에는 안쪽 부인대가 있는데 엄지발가락이 검지 방향으로 휘려고 할 때 당겨서 그것을 막아주는 역할이 있습니다.
보통 상태라면 이 인대들이 팽팽하게 당겨져 있지만, 발 뒤꿈치를 높이면 인대가 느슨해지기 때문에 엄지발가락이 검지 방향으로 구부러지기 쉬워집니다.
또한 발뒤꿈치를 드는 것에 의해 체중이 발가락 끝 쪽으로 실려 신발의 좁은 부분에 손가락이 눌리게 됩니다. 이런 상태도 무지외반증으로 이어지는 원인이 됩니다.
무지외반증 치료
무지외반증은 반드시 변형의 정도와 통증이 비례하지 않습니다. 치료는 변형의 크기에 관계없이 '아프다'고 느끼면 실시합니다.
무지외반증은 중증이 되면 엄지발가락 관절이 절반 탈구된 '아탈구' 상태가 되어 엄지발가락이 회전하게 됩니다. 이 경우 방치해 두면 더욱 변형이 진행되어 버리기 때문에 아프지 않아도 치료를 실시합니다.
치료는 크게 두 종류. 보존요법과 수술입니다. 수술은 최종 수단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보존 요법부터 실시합니다.
보존 요법
보존 요법에는 3종류가 있습니다. 무지외반증에 좋은 신발 신기, 발가락 체조, 그리고 장비 요법입니다. 경도나 어린이의 경우 무지외반증은 보존 요법을 통해 개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중등도 이상의 증상인 경우에도 통증이 경감됩니다.
어떤 구두를 신어야 할까.
무지외반증의 원인이 되는 것은 끝이 가는 신발이나 발 뒤꿈치가 높은 신발이기 때문에 끝이 가늘지 않고 굽이 높지 않은 신발이 이상적입니다.
또 발가락이 신발 안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발끝에는 1~1.5cm 정도 여유가 있으면 좋겠습니다. 또한 신발 안에서 발이 미끄러져 앞으로 어긋나지 않도록 발뒤꿈치와 등이 고정되는 신발을 신습니다.
하이힐을 신을 경우 이동하는 동안에는 다른 신발을 신는 등 하이힐을 신고 있는 시간을 최대한 짧게 합시다. 또한 발목에 굵은 스트랩이 달린 하이힐을 선택하면 발목이 고정되어 다리가 앞으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안창에 붙이는 미끄럼 방지를 활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발가락 체조
발가락 체조가 효과적입니다. 이 체조로 엄지발가락을 지탱하고 있는 모지외전근이라는 근육을 단련합니다.
먼저 모든 발가락을 구부렸다가 모든 발가락을 폅니다. 이때 엄지발가락이 열려있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경도~중등도면 진행을 멈추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무지외반증이 걱정되기 시작한 분들이나 아이들의 무지외반증 예방에도 효과적입니다.
증상이 중등도를 넘은 경우 관절이 딱딱해져 버려서 이 체조는 할 수 없습니다. 이 경우 엄지발가락을 잡고 검지와 반대 방향으로 뻗는 스트레칭을 하여 관절을 부드럽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장비 착용 요법
신발 선택과 체조 외에 통증이 있는 경우는 장비를 착용합니다. 종류는 다양하지만, 주로 토스프레더나 족저삽판을 사용합니다.
토스프레더는 엄지와 검지 사이에 끼우고 엄지손가락을 벌릴 목적으로 사용합니다. 발바닥 삽판은 사용하는 사람의 발에 맞게 만드는 신발 안창 타입의 장구입니다.
엄지를 펼 때 사용하는 근육을 지탱함으로써 구부러져 버린 엄지손가락을 원래대로 되돌리는 작용이 있습니다.
수술
보존 요법으로도 통증이 없어지지 않거나 변형이 개선되지 않는 경우는 수술을 실시합니다. 엄지발가락 관절에 있는 중족골이라는 뼈를 자르는 수술을 합니다. 뼈를 자르는 방법은 환자에 따라 다양합니다.
기본적으로 경도~중등도일 경우 뼈 이동이 작은 원위골절술, 중등도~중증일 경우 뼈 이동의 자유도가 높은 근위골절술 또는 수평골절술을 시행합니다.
뼈를 자르는 수술이기 때문에 뼈가 붙는데 4~6주, 완치까지는 3개월이 걸립니다. 4~6주 동안 목발을 짚거나 발뒤꿈치로 걷습니다.
무지외반증 예방
무지외반증은 신발이 원인이므로 신발 교첼를 통해 막을 수 있는 질병입니다. 또한 생활 습관의 재검토나 다리에 신경을 쓰면서 체조 등을 실시하시는 것도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무
지외반증에 걸리기 쉬운 사람, 무지외반증이 걱정되기 시작한 사람은 자신의 다리에 신경을 써서 중증화되지 않도록 합니다.
'건강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험한 코피 주의! 올바른 코피를 멈추는 법 (0) | 2023.08.25 |
---|---|
[편두통 셀프 체크] 원인과 증상, 치료법, 예방약, 예방법 (1) | 2023.08.25 |
소변 이상을 초래하는 병 정리. 방광염·신장병·암 등 (0) | 2023.08.22 |
성인의 '자폐 스펙트럼증(ASD)'이란? 특성에 대한 이해 (0) | 2023.08.19 |
위가 아픈 원인? 가능한 질병과 증상, 치료법에 대해 (4) | 2023.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