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토피 피부염 증상과 생활에 미치는 영향
남의 눈에 거슬리는 일도 많다
아토피 피부염은 강한 가려움증에 시달릴 뿐만 아니라 피부가 빨갛게 거칠어짐으로써 남의 눈을 신경 쓰는 분들도 많이 있습니다.
그것이 원인이 되어 등교거부가 되거나 취업이나 결혼을 포기해 버리는 등 인생 설계에 큰 영향을 줄 수도 있습니다. 아토피 피부염은 완치시키기 어렵지만 올바른 치료와 스킨케어를 실시함으로써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아토피성 피부염 증상
만성 피부증상 '태선화'
피부가 두껍고 울퉁불퉁한 상태로 되어 있으며, 군데군데 검은 부분이 보입니다. 이것은 '태선화'라고 불리며 아토피 피부염의 만성적인 증상으로 보입니다.
피부를 보호하는 '피부 장벽'
건강한 피부 구조
피부는 세포가 여러 층 겹쳐 형성되어 있습니다. 피부 표면에는 피지막이라고 하는 지방 막이 왁스처럼 덮여 있습니다. 그 밑에 각층, 과립층이라는 조직이 늘어서 있고 이 부분이 장벽으로서 굉장히 중요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피부 표면 조직은 피부 장벽이라고 불리며 약 0.02mm로 매우 얇은 것이 특징입니다. 건강한 상태라면 세균이나 알레르겐 등의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기능을 합니다.
뿐만 아니라 장벽이 피부를 덮음으로써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방지하고 수분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아토피 피부염의 경우
아토피 피부염이 있는 분의 피부에서는 각층이 흐트러져 올라와 피지도 줄어듭니다. 게다가 원래 표피의 하층에 위치한 지각신경이 세포가 부서짐과 동시에 발해지는 신호에 의해서 표면 쪽으로 뻗어나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처럼 지각신경에 이상을 초래하고 피부장벽을 통과한 세균이나 알레르겐 등에 의한 자극으로 염증과 강한 가려움증이 발생합니다.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
건강한 피부에서는 천연 보습 성분(NMF)의 작용에 의해 수분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천연보습성분(NMF)이 적어지면 건조해지고 각질이 말라 탄력을 잃게 됩니다.
또 각질 세포의 틈새를 살펴보면 건강한 각질층의 경우 수분이 충분히 유지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세라마이드(세포간 지질)라고 불리는 물질의 작용에 의한 것입니다.
아토피 피부염의 경우 세라마이드가 적기 때문에 유지할 수 있는 수분량이 적고 건조한 상태가 지속됩니다.
피부 장벽을 강하게 해주는 스킨케어
특히 중요한 것은 세척법과 보습
아토피성 피부염의 발병에는 피부 장벽의 기능 저하가 관련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각층이나 피지막으로 이루어진 피부 장벽을 강하게 하려면 먼저 올바르게 씻는 것, 그리고 올바르게 보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피부 장벽을 강화하는 몸을 씻는 방법
피부 장벽은 얇기 때문에 몸을 씻을 때 수건 등으로 강하게 문지르면 망가져 버립니다. 비누를 거품을 잘 내고 거품으로 감싸듯이 씻읍시다. 문지르지 않아도 거품을 잘 내는 것만으로 얼룩은 지워집니다.
거품이 남지 않도록 따뜻한 물로 잘 씻어내고 부드러운 수건으로 물방울을 누르듯 수분을 닦아냅니다. 닦을 때도 수건으로 문지르지 않도록 합시다.
아토피 피부염에 효과적인 보습
목욕 직후 피부가 촉촉할 때 보습제를 사용해 피부에 '뚜껑'을 덮어주면 피부 장벽 대신 수분 증발이나 외부 자극을 막아줍니다.
보습제에는 바셀린, 크림, 로션이 있기 때문에 취향에 맞는 것을 사용하면 좋을 것입니다. 다만 가급적 자극이 적은 것을 선택합니다.
땀을 흘리는 것은 나쁜 일이 아니다
한 연구에서는 땀을 흘리지 않으려고 하는 환자보다 땀을 흘리도록 지도한 환자가 증상이 개선되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땀은 피부를 촉촉하게 하고 장벽 기능을 높이는 작용이 있는 것입니다.
단, 땀을 계속 남겨두면 땀 성분이 자극이 되어 아토피 피부염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가급적 샤워를 하거나 젖은 수건으로 땀을 닦아내고 보습하는 등 땀에 대한 관리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건강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성 콩팥병의 치료. 투석요법(혈액투석, 복막투석)과 신장이식 (0) | 2023.09.16 |
---|---|
가려움증의 원인과 해결법 (0) | 2023.09.14 |
겨울에 피부가 가려워지는 이유는? 노화와 함께 진행되는 건성피부 치료 및 예방법 (0) | 2023.09.14 |
어른도 발병하는 땀띠. 가정에서 할 수 있는 땀띠 치료, 원인 및 예방법 (0) | 2023.09.14 |
손발 저림의 원인이란? 의심되는 질병과 증상, 치료법 정리 (0) | 2023.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