땀띠란
땀띠는 아이의 피부 질환으로 생각되기 쉽습니다. 그러나 땀을 흘리기 쉬운 여름에는 어른들의 땀띠도 적지 않습니다. 땀은 에클린 땀샘이라고 하는 관을 통해 몸 밖으로 배출됩니다.
땀이 많이 나고 장시간 그대로 유지되면 때나 먼지 등으로 에클린 땀샘 출구가 막혀 땀을 배출할 수 없게 됩니다.
그 결과 땀이 체외가 아닌 에크린 땀샘에서 진피로 새어나와 염증이 일어나 붉은 습진이 생기고 가려움증이 나타납니다. 이것이 땀띠입니다.
가려움증을 참지 못하고 땀띠를 긁어 버린 상처로부터 세균이 침입하면 중증화되어, 전염성 농가진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땀띠가 생기기 쉬운 사람
비만이 있는 사람은 피하지방이 많기 때문에 체내 열이 방출되기 어렵고 비만이 없는 사람에 비해 땀을 많이 흘리며 땀띠가 생기기 쉽습니다.
피하지방이 많으면 하복부나 다리 관절, 겨드랑이, 목 등에서 피부와 피부가 겹쳐 문질러짐으로써 에클린 땀샘이 막히기 쉽기 때문입니다.
또한 여성 중 가슴이 큰 사람이나 처진 모양을 하고 있는 사람도 유방과 가슴 피부 사이에 땀이 차 땀띠가 생기기 쉽습니다.
고령자 중에는 에어컨을 꺼리는 사람도 많습니다만, 땀을 흘린 채로 두면 땀띠가 생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질병 등으로 침대에 누운 채 하루의 대부분을 보내는 사람의 경우는 등과 같은 피부가 침대에 밀착된 채로 있기 때문에 땀띠가 생기기 쉽습니다.
땀띠 치료
경증의 경우 자주 목욕이나 샤워 등으로 땀을 씻어내고 피부를 청결하게 유지함으로써 땀띠는 기본적으로 자연스럽게 낫습니다.
땀띠가 있는 부분을 씻을 때 뻣뻣한 딱딱한 수건이나 스펀지 등을 사용하면 땀띠를 손상시켜 전염성 농가진이 일어나기 쉬워지므로 피해 주십시오.
거품 바디워시나 비누 거품망 등을 사용하여 만든 거품을 낸 손으로 부드럽게 씻도록 합니다. 목욕 후에는 피부를 문지르지 않도록 수건을 몸에 대고 물방울을 떨어뜨리듯이 닦습니다.
가려움증이 있는 경우는 우선 아이스팩이나 차가운 수건 등으로 차게 합니다. 게다가 땀띠 시판약을 사용하여 가려움증을 완화합니다. 땀띠 치료제는 제형이나 배합되어 있는 성분 등 다양한 종류의 것이 있습니다.
증상이나 연령 등에 따라 적절한 시판약은 다르므로 약국 등에서 상담하십시오. 습진에서 침출액이 나오는 경우 파우더 타입, 침출액이 나오지 않은 경우 크림 타입의 시판약을 사용하면 좋을 것입니다.
땀띠 외에 아토피 피부염 등 피부질환이 있는 경우나 세균이나 곰팡이 등의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시판약을 사용하면 증상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시판약으로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나 잠들지 못할 정도로 가려움증이 심한 경우 등은 빨리 피부과에서 진찰을 받으십시오.
땀띠를 긁어 버려 전염성 농가진이 일어나는 등 중증화된 경우에는 주변 사람에게 옮기는 것을 막기 위해서라도 피부과에서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염성 농가진 치료는 항균제 외용약을 사용하여 환부에 증식한 세균을 억제합니다. 땀띠로 인한 습진이 악화된 경우 스테로이드 약물 외용제가 처방됩니다.
또한 가려움증으로 잠을 잘 수 없는 경우 등에는 항히스타민제 내복약이나 외용약이 처방될 수 있습니다.
땀띠 예방
땀띠 예방에는 땀을 흘린 채로 두지 말고 피부를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피부를 청결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땀을 흘리면 자주 닦아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외출한 곳 등에서는 수건이나 손수건, 땀 닦기용 시트를 사용하여 땀을 닦아 내도록 합시다. 또한 복장은 땀을 빨기 쉽고 건조하기 쉬운 것으로 하도록 합시다.
넉넉하고 건조하기 쉬운 무명 등 원단의 옷을 선택하면 좋습니다. 스포츠를 할 때는 땀을 흡수하고 바로 마르는 소재의 운동복을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피부가 건조해지기 쉬운 사람은 목욕 후 스킨케어를 유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목욕 후 보습제를 발라 피부를 건조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땀띠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보습제는 끈적거리지 않는 로션 타입을 추천합니다. 바셀린은 기름기가 많고 끈적거려 에클린 땀선의 출구를 막아 버려 오히려 땀띠가 생기는 원인이 되므로 피합시다.
'건강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토피 피부염 개선! 올바른 보습으로 피부 장벽을 강하게 하다 (1) | 2023.09.14 |
---|---|
겨울에 피부가 가려워지는 이유는? 노화와 함께 진행되는 건성피부 치료 및 예방법 (0) | 2023.09.14 |
손발 저림의 원인이란? 의심되는 질병과 증상, 치료법 정리 (0) | 2023.09.12 |
관절통 치료법, 통증 완화법과 원인이 되는 질병 (2) | 2023.09.12 |
부종의 주요 원인과 치료 및 예방법, 관련 질병정리 (0) | 2023.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