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지식

말기 신부전으로 일어나는 요독증의 증상과 원인, 치료법(혈액투석과 복막투석)

요독증 원인이나 증상에 대해

만성 콩팥병 단계에 대해서

만성 콩팥병에는 스테이지 G1부터 스테이지 G5 단계가 있는데, G5까지 도달한 상태를 말기 신부전이라고 합니다. 이쯤 되면 투석이 필요하게 됩니다.

말기 신부전에 걸리면 요독증이 생긴다

말기 신부전이란 신장의 기능이 정상 신장의 15% 미만으로 저하되어 체내 노폐물이나 여분의 수분을 배설하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그렇게 되면 걸러내지 못한 노폐물이 온몸을 돌면서 요독증이라고 불리는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요독증의 주요 증상

요독증의 주요 증상은 노폐물이 쌓이는 것으로 인한 '식욕 저하' '구역질' '두통' '나른함'과 수분이 쌓이는 것으로 인한 '부종' '가슴 두근거림·숨가쁨' '뇨량 감소' 등입니다.

그 밖에 '맥의 흐트러짐' '혈관 석회화' '혈압이 높아짐' '빈혈' '뼈가 약해진다' 등의 증상도 나타납니다.

말기 신부전의 치료, 투석에 대하여

말기 신부전 치료는 투석 치료나 신장 이식

말기 신부전에 걸리면 잃어버린 신장의 기능을 대체하기 위해 투석 치료 또는 신장 이식이 필요합니다. 신장 이식을 받으면 건강한 사람에게 가까운 생활을 할 수 있지만 신장 제공자는 많지 않습니다.

투석 치료에는 혈액 투석과 복막 투석의 두 가지 종류가 있다

혈액투석이란
투석 치료에는 혈액 투석과 복막 투석 두 가지가 있으며, 일본에서는 대부분의 경우 혈액 투석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혈액투석실이라고 불리는 시설에서 먼저 팔 혈관에서 노폐물을 포함한 혈액을 내보내고 다이어라이저라는 장치를 통해 노폐물이나 여분의 수분을 제거하여 혈액을 깨끗하게 합니다. 그리고 깨끗해진 혈액을 몸으로 되돌립니다.

혈액투석에 걸리는 시간은 1회당 약 4시간. 이것을, 주 3회 정도의 빈도로 실시합니다.

혈액이 다이어라이저에 들어가게 되면 여분의 수분과 함께 노폐물이나 나트륨, 칼륨, 인 이런 것들이 특수 막을 통해서 투석액 쪽으로 나옵니다.

한편, 단백질이나 적혈구는 여과되지 않기 때문에 깨끗해진 혈액이 몸 안으로 돌아가는 구조입니다. 혈액 투석을 시작하게 되면 그때까지 생활이 크게 달라질지도 모릅니다.

고령자라면 장시간 침대에서 자고 있는 것으로 인해 몸의 근육이 약해져 버리거나 치매가 발생하는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습니다.

복막 투석이란
투석을 하면서 생활의 활동력을 유지한다는 점에서 복막투석이라는 치료법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복막 투석은 배에 카테터라는 튜브를 삽입하고 복막이라는 얇은 막으로 된 봉투에 투석액을 넣습니다. 노폐물이나 여분의 수분, 이온이 몸 속에서 투석액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이 노폐물이 함유된 투석액을 몸 밖으로 빼냄으로써 혈액을 깨끗하게 합니다. 복막투석에는 1일 3, 4회 투석액을 교환하는 CAPD라는 방법과 1일 1회 취침 중에 기계를 사용하여 투석액을 교환하는 APD라는 방법이 있습니다.

일과 생활 스타일에 따라 선택할 수 있습니다.

투석 치료의 주요 합병증

투석 치료에는 몇 가지 합병증이 있습니다. 혈액투석의 경우 투석치료 후 혈압저하나 두통, 메스꺼움, 구토, 어지러움, 가슴 두근거림·숨차는 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한편, 복막 투석은 복막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 장기간 복막투석을 하다 보면 복막이 딱딱해지는 피복성 복막경화증에 걸리게 되고 복막과 뱃속 장기가 유착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장기간 복막 투석을 계속하다 보면 복막의 기능이 열화되어 투석의 효율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복막 투석을 할 수 있는 기간이라는 것은 8 년에서 10 년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복막 투석을 할 수 없게 된 경우는 혈액 투석으로의 이행이 검토됩니다. 다만 처음부터 혈액투석을 선택하기보다는 먼저 복막투석을 해서 활동적으로 보낼 수 있는 시간을 길게 하는 것도 의의가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